연세대학교 MBA


logo

 
banner1
포토뉴스
연재/컬럼
서주일칼럼
2021.08.24 09:59

<31> 성자극(1)

조회 수 268 추천 수 0 댓글 0
Atachment
첨부 '1'
Extra Form

사람들은 소변을 보듯이 성 역시도 본능에 가까운 배설 욕구의 일환이며 '몸이 제 스스로 하는 일인걸 어찌하랴' 는 의식이 있다.

그러나 같은 하나의 성이 감수성 예민한 청년기와 한 가정을 만드는 결혼 시기를 거치고 나면 성의 사회학적 역할과 심리적 생리적 요인이 점차 중요해 짐을 깨닫는다.

그것은 출산을 통한 2세 형성의 가장 근본적인 활동임에도 그렇고 사춘기라는 어른 되는 큰 강을 건널 때나 자라면서 성적 가치관 형성에도 그렇듯이 성의 사회적 영향은 자꾸 증대 되어 간다.

더구나 작은 사회의 일면인 배우자, 내 파트너와 함께 이루어 내는 공동의 작업이 성임을 깨달을 때 성과 사회는 뗄래야 뗄 수 없는 하나의 동질성을 지니게 된다.

바로 그 성에 대한 문제 중 가장 큰 문제는 부부가 함께,즉 나의 성 파트너와 함께 풀어야 한다는 대 전제가 앞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성은 파트너가 인정하고 협조하는, 그리하여 심리적으로 건전하며 성 행위 자체에도 상호 긍정적인 의미 부여가 필요 하다는 것이다.

반대로 동의 받지 않은 성과 또 체념하고 포기한 성은 어떤 때는 한 가정을 파탄으로 까지 몰고 가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한 가정을 허물 수 있는 것 중에는 성기능 장애 역시 한몫 할 수 있다.

우리의 경우는 전통적인 의식으로 인해 가정에서 성의 절름발이는 줄 곳 감추어져 왔고 또 당연히 그래야 되는 것으로 치부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외국의 경우는 전체 10명의 남성 중 6명 정도가 성 장애를 경험 했다고 전한다.

우리나라 역시 그와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이 부분은 사실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독신자가 행하는 외로운 성 해소법이나 또 동성애 경향, 혹은 양성애 사람들 역시도 문제가 될 수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우리가 주로 경험하게 되는 것은 남성의 발기장애와 여성의 불감증이다.

근대에는 이 두 가지가 가장 큰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남성에게는 자신감이 여성에게는 자존심 상하는 상담 내용인 것이다.

그런데 이 두 가지 원인은 묘하게도 연결고리가 복잡한 사슬처럼 얽혀있다. (다음호에 계속)


door.jpg


  관련기사

  • 제21기 민주평통브라질협의회장에 서주일씨 위촉....

  • <51> 상식

  • <50> 신의 존재

  • No Image

    <49> 바램

  • No Image

    <48> 천국

Who's 서주일

profile

서주일 박사 (남성 클리닉 전문의. 나사렛병원장)

전 브라질한인회장/<서주일의 작은 이야기>저자

2019년 자랑스런 한국인’ 민간경제외교 대상 수상

2020 국민훈장 모란장 수훈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14 서주일칼럼 <34> 빛 좋은 개살구 file 2021.09.27 270
113 송하연요가 NO 허리통증! 누워서 매일 4분만 따라해보세요! file 2021.09.23 231
112 서주일칼럼 <33> 삶의 의미 file 2021.09.21 292
111 송하연요가 목 통증과 이별하는 힐링요가 10분 file 2021.09.16 230
110 서주일칼럼 <32> 사 단계 부부생활 file 2021.09.14 370
109 송하연요가 매일 10분만 따라하면 허리 통증과 안녕, 기적의 골반스트레칭! file 2021.09.09 299
108 송하연요가 건강한 아침 습관, 모닝 스트레칭으로 붓기 빼고 상쾌하게 하루... file 2021.09.02 194
107 서주일칼럼 <31> 성자극(2) file 2021.08.31 248
106 송하연요가 하루 15분 예쁜 11자 복근 완성 프로젝트 file 2021.08.26 215
» 서주일칼럼 <31> 성자극(1) file 2021.08.24 268
104 송하연요가 이거 하나면 오늘 운동 끝! 체중감량을 위한 파워요가 file 2021.08.18 273
103 서주일칼럼 <30> 한국기독교와 서양기독교의 차이점 file 2021.08.17 2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
상호명 : 투데이닷컴(웹)/한인투데이(일간지) / 대표자 : 인선호 / E-Mail : hanintodaybr@gmail.com/webmaster@hanintoday.com.br
소재지 : R. Jose Paulino, 226번지 D동 401호 - 01120-000 - 봉헤찌로 - 상파울로 - 브라질 / 전화 : 55+(11)3331-3878/99721-7457
브라질투데이닷컴은 세계한인언론인협회 정식 등록사입니다. Copyright ⓒ 2003 - 2018 HANINTODA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