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MBA


logo

 
banner1
포토뉴스
연재/컬럼

tb1_hangul_cc_by_sa.jpg


[한인투데이] 브라질 지명에 대한 한글표기법을 두고 최근 온라인서 다양한 의견들로 반응이 뜨겁다.


주상파울루총영사관(총영사 김학유) 지난 27일 공식 페이스북에 ‘여러분은 ‘São Paulo’를 한글로 어떻게 쓰시나요?’라는 제목의 글을 게시했다. 게재 후 해당 글은 좋아요와 공유 등으로 누리꾼들들로부터 큰 주목을 받으며 순식간에 이슈로 떠올랐다.


총영사관은 국립국어원은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다른 언어에서 빌려온 어휘(외래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규정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국립국어원에서 정한 포르투갈어 표기법은 언론과 학계에서는 잘 준수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일부 예제에 따른 표기법을 다음과 소개했다.


경음(된소리, ㄲㄸㅃㅆㅉ)은 사용하지 않으며, 격음(거센소리, ㅋㅌㅍㅅㅊ)으로만 표기됨에 따라 Bom Retiro는 봉헤치루(○), 봉헤찌루(×) Paulista – 파울리스타(○), 빠울리스따(×) Santa Catarina – 산타카타리나(○), 싼따 까타리나(×)라면서 지명은 별도의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다고 했다.


본지도 그간 사용해 오던 상파울로 지명표기를 없애고 올해 2월부터 모든 기사 내용에 상파울루로 변경해 보도하고 있다. 다만 봉헤치루 경우에는 어감 등을 고려해 봉헤찌로 표기를 고집하고 있다. 이런 이유에서인지 한글표기법의 오류를 지적하는 일부 네티즌들의 댓글도 여러 눈에 띈다.


이런 가운데 김학유 총영사도 “개인적으로 외래어 표기는 기본적으로 가장 원음에 가깝게 한글로 표기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는 견해를 밝혀 눈길을 끌고 있다.


또 “이미 굳어진 고유명사, 특히 지명에 대해서는 쓰고 있는 표기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면서 “Paris를 '파리'로, Brasil을 '브라질'로 표시하듯이 São Paulo도 이미 오래 전부터 굳어진 '상파울로'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경자씨도 “여러 번에 걸쳐 포어 고유명사의 한글 표기 문제점을 제언했다. 본국 학자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같다” 면서 토론의 장을 만들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여러분은 ‘São Paulo’를 한글로 어떻게 쓰시나요? 상파울루?, 상파울로?, 사웅파울루?, 쌍파울로?’


door.jpg


  관련기사

  • 브라질한인회, 한인회관 매각 추진한다...한인타...

  • 평통브라질협의회, 2024통일골든벨 대회 개최......

  • 한인테니스인들, 불우 이웃들을 위한 도시락 지원...

  • 상파울루에서 첫 해외 전시회...세계적인 일러스...

  • ‘아차’하면 나도 마약배달꾼 된다...마약운반책 ...

?
  • profile
    lorenjo 2018.04.05 15:00
    이러한 한글 표기 문제로 브라질 포어학자와 몇번 만날수 있는 기회도 있었고
    Portugal 에 여행을 간적도 있어 심히 귀 귀울려 경청 해보고 그곳사람들의
    고견도 들어 보았습니다. 첫째가 뽀르뚜갈 의 포어 발음과 브라질의 포어 발음을
    한국에서는 동일시 하고 있다는것부터가 큰 착오이며 크나큰 실수입니다.

    Portugaol 발음과 Brasil 발음에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는것을 본국에서는 모르고
    있습니다.

    Portugal 에서는 "상 빠울루"가 정답이며 Brasil 에서는 "상 빠울로" 가 옳습니다.
    Rio de Janeiro 도 브라질에서는 분명코 정확한 발음이 "리오" 혹은 "히오"가 맞습니다.

  1.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Next
/ 6
상호명 : 투데이닷컴(웹)/한인투데이(일간지) / 대표자 : 인선호 / E-Mail : hanintodaybr@gmail.com/webmaster@hanintoday.com.br
소재지 : R. Jose Paulino, 226번지 D동 401호 - 01120-000 - 봉헤찌로 - 상파울로 - 브라질 / 전화 : 55+(11)3331-3878/99721-7457
브라질투데이닷컴은 세계한인언론인협회 정식 등록사입니다. Copyright ⓒ 2003 - 2018 HANINTODA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