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MBA


logo

 
banner1
포토뉴스
연재/컬럼
Extra Form

tb1_AKR20150425049300009_02_i.jpg


네팔 대지진으로 사흘째 구조작업이 계속되는 가운데 사망자가 3천200명을 넘어섰다.


구조 작업은 진원지를 비롯한 외곽 지역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산사태로 도로와 통신망이 붕괴돼 구조대원들의 접근이 어려운 실정이다. 

AFP통신 등 외신은 27일(현지시간) 네팔 재해당국 관계자를 인용, 대지진 사망자가 3천218명으로 늘었으며 부상자도 6천538명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사망자는 26일까지 2천500명 정도였으나 아침부터 수색작업이 본격적으로 재개되면서 사망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진원지를 비롯한 외곽 지역으로 구조 작업이 확대되면서 사상자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진원지인 고르카 지역 당국자는 AP통신에 산사태로 구조팀의 접근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국제구호기구 월드비전 직원 매트 다르바스는 "200∼1천명이 사는 마을 전체가 산사태에 묻혀버린 일이 드물지 않다"고 말했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온라인판은 네팔 당국자들을 인용,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만 명에 달할 수도 있다는 관측을 내놨다.

사망자가 1만 명에 이르면 1934년 1만700명이 사망한 네팔 최악의 지진에 필적하는 참사다.

앞서 미렌드라 니잘 네팔 정보장관은 지진 사망자가 4천500명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기도 하는 등 시간이 지날수록 사상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외국 구호요원들이 속속 네팔에 당도하는 가운데 설사와 홍역 등 질병의 확산으로 피해가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오를라 파간 유엔 대변인은 "질병의 확산을 막는 것이 구호 요원들의 주요 업무 중 하나"라면서 "구호요원들이 군용기를 타고 네팔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다행히 지진으로 폐쇄됐던 카트만두 국제공항이 다시 문을 열면서 구호품 조달이 재개된 상태다. 

길거리나 임시 천막에서 밤을 보낸 네팔 주민들은 여전히 여진의 공포에 떨고 있다.

밤늦게 여진이 잦아들기는 했으나 26일 규모 4.0∼6.7의 여진이 수십 차례 이어졌다.

한 주민은 AP에 "여진이 계속되고 있고 멈추지 않는다. 안전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면서 "이번 일로 건물을 안전하게 지어야 한다는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확인된 한국인 피해자는 댐건설 관련 기술자 1명과 여행 중이던 부부 등 부상자 3명이다.

앞서 AP통신이 에베레스트 인근 베이스캠프에서 한국인 1명이 구조됐다고 보도했으나 외교부는 구조된 사람 가운데 한국인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tb1_AKR20150426001600009_01_i.jpg



door.jpg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최근 수정일 링크주소 조회 수
3205 Muppet = 아둔한 사람 2003.08.22 2003.08.22 2398
3204 "美성직자 성추행 배상액 6,500만弗" 2003.08.23 2003.08.23 2173
3203 인도 정부 콜라 속 살충제 미량 2003.08.24 2003.08.24 2272
3202 마틴 쉰 등 할리우드 유명배우들 "슈워제네거 주지사 출마 반대" file 2003.08.24 2003.08.24 2284
3201 캘리포니아 초등학교서 청량음료 ''NO'' 2003.08.25 2003.08.25 2592
3200 50년전 분실한 지갑 돌아와 2003.08.25 2003.08.25 2224
3199 성추행 신부 교도소서 피살 2003.08.26 2003.08.26 2390
3198 프랑스 폭염 사망 시신들 신원확인 안돼 2003.08.26 2003.08.26 2023
3197 미국 ''자자 사담'' 제작 2003.08.27 2003.08.27 2028
3196 중국, 탐관오리 색출위해 "암행어사" 파견 2003.08.27 2003.08.27 2519
3195 아랍 방송 "후세인 모술에서 목격" 2003.08.28 2003.08.28 2109
3194 [피격 KAL機 비상등 점멸..여객기 식별 가능했다] 2003.08.29 2003.08.29 19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71 Next
/ 271
상호명 : 투데이닷컴(웹)/한인투데이(일간지) / 대표자 : 인선호 / E-Mail : hanintodaybr@gmail.com/webmaster@hanintoday.com.br
소재지 : R. Jose Paulino, 226번지 D동 401호 - 01120-000 - 봉헤찌로 - 상파울로 - 브라질 / 전화 : 55+(11)3331-3878/99721-7457
브라질투데이닷컴은 세계한인언론인협회 정식 등록사입니다. Copyright ⓒ 2003 - 2018 HANINTODA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