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MBA


logo

 
banner1
포토뉴스
연재/컬럼
Extra Form




중국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미·중 패권경쟁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후진타오(胡錦濤·사진) 중국 국가주석이 해군에 ‘국가 안전을 위해 전투 준비에 만전을 기할 것’을 주문했다. 서태평양으로 이동하는 미국의 팽창, 남중국해 분쟁을 겨냥한 움직임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향후 파장도 주목되고 있다.

7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후 주석은 6일 베이징에서 해군 제11차 당대표대회·전군장비공작회의 대표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가 안전을 지키고 세계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해군 현대화와 체제 전환을 가속화하고 전투준비를 확대 심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견고한 국방과 군대 건설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는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인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과 양광례(梁光烈) 국방부장, 천빙더(陳炳德) 총참모장, 징즈위안(靖志遠) 제2포병대 사령관, 우성리(吳勝利) 해군사령관, 쉬치량(許其亮) 공군사령관 등 군 수뇌부가 모두 모여 있었다.

미국은 후 주석의 발언에 대해 정면 대응을 피하는 듯하다. 조지 리틀 미 국방부 대변인은 “미국이 그런 것처럼 중국 역시 군사 역량을 발전시킬 권리가 있다”며 “그러나 우리는 중국이 투명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겉으로는 평화를 외치고 뒤로는 군비 증강에 나서지 말라는 뜻이 담긴 말이다.

그러나 후 주석의 발언은 미국, 일본, 필리핀, 베트남 등이 중국의 군사적 팽창에 우려를 표명하며 사실상 중국 봉쇄에 나서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지난달 하와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발리 동아시아정상회의(EAS) 등에 참석하며 ‘아시아로의 복귀’를 선언했다.

미국은 또 호주에 미군기지를 건설하고 2500명의 해병을 주둔시키기로 했다. 인도네시아에는 최첨단 전투기를 팔기로 했다. 미국, 일본, 인도 3국은 오는 19일 해상협력 강화를 위한 첫 회의를 열기로 결정한 마당이다. 이 같은 행보는 대중국 압박을 노골화하고 있는 것에 다름아니다.

중국 인민해방군이 지난해 7월 한국과 미국의 서해 연합훈련에 반발하며 동중국해 해상에서 실탄사격 훈련을 하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실제 중국에는 강경 대응의 움직임이 일고 있다. 중국은 지난달 하순 서태평양 지역에서 해군함정 훈련을 벌인 데 이어 지난달 29일 첫 항공모함 바랴크호를 두 번째로 출항시켰다. 중국 관영매체들은 해군력 강화를 위해 태평양 지역을 담당하는 제4의 함대를 창설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중국과 일본 간 관계도 심상치 않다. 오는 12∼13일로 예정됐던 일본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의 방중이 중국의 요구로 돌연 취소됐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미국의 대중국 압박에 일본이 적극 합류할 움직임을 보이자 불편한 심기가 표출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일본은 미국이 주도하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A)에 참여할 뜻을 밝히면서 중국견제론에 불을 지폈다.
일본은 일단 양국 정상회담 연기 배경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파문이 더 이상 확대되지 않도록 신경쓰는 모습이다. 후지무라 오사무(藤村修) 관방장관은 7일 오전 기자회견에서 “총리의 방중은 중국도 몹시 중요시하고 있는 사안으로, 좋은 분위기 속에서 성사시키고 싶다”면서 “이달 27∼29일로 예정된 노다 총리의 인도 방문 이전에 총리의 방중이 실현되도록 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겐바 고이치로(玄葉光一郞) 외상은 중의원 외무위원회에서 노다 총리의 방중 연기와 향후 대중 관계의 관련성에 대해 “양국이 좋은 분위기를 만들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방중 연기가 일·중 관계에 악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답변했다.

door.jpg
?

상호명 : 투데이닷컴(웹)/한인투데이(일간지) / 대표자 : 인선호 / E-Mail : hanintodaybr@gmail.com/webmaster@hanintoday.com.br
소재지 : R. Jose Paulino, 226번지 D동 401호 - 01120-000 - 봉헤찌로 - 상파울로 - 브라질 / 전화 : 55+(11)3331-3878/99721-7457
브라질투데이닷컴은 세계한인언론인협회 정식 등록사입니다. Copyright ⓒ 2003 - 2018 HANINTODA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