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디워’의 성공은 조장된 애국심이 빚어낸 허상

by 인선호 posted Oct 16, 20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영화 비평가들은 판타지의 대실패라고 혹평했다. 그러나 관객들은 국가적 보물이라고 칭하며 이같은 의견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공격했다. 다름 아닌 심형래 감독의 영화 ‘디워’에 대한 이야기다.

미국의 유력 일간지 LA타임즈(latimes.com)는 15일 영화 '디 워'를 혹평했던 문화평론가 진중권 씨에게 쏟아졌던 한국 사회의 비난 분위기를 상세하게 전하며 그릇된 애국심은 바로잡아야 한다는 진씨의 입장을 보도했다.

LA 타임즈는 ‘디워’가 한국에서 개봉 2개월만에 8백만명의 관객을 동원했고 매출액 5,300만달러, 역대 흥행 순위 5위에 랭크되는 대성공을 거뒀으며 이는 단순히 박스오피스 만의 성공이 아닌 한국의 자신감이 투영된 국가적 성공으로까지 비쳐졌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이 신문은 '디워'가 ‘Dragon Wars’라는 타이틀로 9월 중순 북미에서 개봉된 이후로 고작 1,000만 달러를 벌어들이는데 그쳤다는 점에서 한국의 분위기와는 분명 다르다는 점을 지적했다.

나아가 이 신문은 미국의 영화 비평가들은 영화 ‘디워’를 엉성한 전개와 우스꽝스러운 대사와 행동들의 일색으로 평가했고 한국에서의 성공을 자국 국민들의 애국심에 노골적으로 호소한 덕으로 치부했다고 전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는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 '디워와 나는 세계시장에서 실패없이 살아 남을 것'이라는 심형래 감독의 말을 삽입한 것과 고전음악 아리랑을 배경으로 깐 점을 꼽았다.

LA타임즈는 영화 ‘디워’를 좋지 못한 영화라고 평가한 한국의 일부 비평가들이 매국노나 약탈자 쯤으로 취급됐다는 사실을 전하며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출연해 ‘디워’의 부족한 부분을 지적했던 문화 평론가 진중권씨가 겪었던 사회적 위협에 대해 소개했다.

‘디워’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맹목적인 사랑은 인터넷에 의해 뜨겁게 달궈져 ‘디빠(D-paa)’라 불리는 팬클럽을 만들었고 이 팬클럽 회원들은 진씨의 홈페이지를 통해 ‘겁박’하기 시작했다. 욕으로 도배를 하는 것은 물론 밤길을 조심하라는 협박과 일본 여자를 아내로 맞이한 그의 결혼을 매국노의 짓으로 매도하고 그의 아이들은 쪽바리 자식으로 치부했다. 결국 그는 홈페이지를 폐쇄할 수밖에 없었다.

진씨는 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심형래 감독뿐만 아니라 한국 국민들은 모두 몽상가와 같다”고 말하며 “한국 미디어들은 ‘디워’가 할리우드에 진출하는 것을 대단한 국가적 성공이라고 여겼고 때문에 이것을 비판하는 사람은 공공의 적이 될 수밖에 없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진씨는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그토록 최악의 영화는 보기 힘들다”고 얘기하며 “아무런 줄거리도 구성되어 있지 않는 그런 영화는 국가적인 망신이다. 나는 대사가 한국어가 아닌 영어로 제작된게 너무 다행이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진씨는 이어 "영화 '디워'에서 심형래 감독은 작품의 미학적 측면을 하나도 보여주지 않은 채 단지 애국심의 측면만을 강조할 뿐이었다"고 주장했다.

한편 진씨는 승리의 소식만 듣기를 원하는 한국 사람들의 특징을 문제로 지적하기도 했다. 이것은 황우석 사건이 발생했을 때도 여실히 드러났던 점이다.

마지막으로 진씨는 “한국의 몇몇 영웅들은 광신도와 같은 네티즌들에 의해 인터넷 안에서 형상화 된다”며 “한국 사람들은 그들 전체의 삶을 인터넷 문화 속에 집어넣고 그 안에서 성공 여부를 평가하는데 이 같은 온라인의 조장에서 비롯된 눈먼 애국심은 반드시 사라져야 할 문제다"고 덧붙였다.


door.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