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심 못짚은 엉터리 여론조사

by 허승현 posted Oct 31,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0·26 재보선일 아침,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당이 운영하는 여의도연구소로부터 서울시장 보선 여론조사 결과서를 받아들었다. 나경원 후보가 무소속 박원순 후보를 0.7%포인트, 간발의 차이지만 앞서고 있다는 보고였다.

홍 대표는 최고중진회의에서 자신감에 찬 목소리로 “투표장에 우리 편이 많이 나가면 우리가 이긴다”며 ‘강남총동원령’을 내렸다. 지시대로 강남 지역의 투표율은 서울 전체 투표율 48.6%보다 많게는 5%포인트가 높았다. 그럼에도 나 후보는 박 후보에게 7.2%포인트 차이로 완패했다.

당의 대처에 도움이 돼야 할 여의도연구소의 여론조사가 거의 주먹구구에 가까웠던 것이다.

이 연구소는 여론조사의 초보수준인 ARS방식(기계음 설문조사)으로 조사한다. 10만명에게 전화를 걸면 겨우 5000명 정도와 연결된다. 전화 응답률이 5∼7%에 불과해 민심의 흐름을 과학적으로 측정할 수가 없다.

투표 일주일 전 문화일보 여론조사 결과 보도는 한나라당 지지자들을 고무시켰다. 나 후보가 박 후보를 무려 10.1%포인트(47.7% 대 37.6%) 앞선 조사 결과였다. 단순지지도 조사에서뿐 아니라 적극지지층 조사에서도 54대 37로 월등하게 나 후보가 앞섰다.

문화일보는 “강남뿐만 아니라 강북에서도 나 후보가 앞서고 있다. 오차범위를 벗어난 첫 조사여서 의미가 있다”고 보도했다. 결과적으로 이 보도는 여론의 흐름을 잘못 짚은 ‘오보’였다.

나흘 앞서 한겨레신문은 나 후보가 박 후보를 51.3% 대 45.8%로 5.5%포인트 앞선다고 보도했다. 한겨레 조사 보도는 박 후보 진영을 긴장시킨 효과는 있었다.

CBS·나이스알앤씨는 18일 나 후보가 3%포인트, 국민일보·GH코리아는 같은 날 나 후보가 2.9%포인트 차로 뒤집었다고 보도했다. 16∼17일 조사한 동아일보·코리아리서치는 나 후보가 단순지지층에서 1.3%포인트, 적극지지층에서는 6.2%포인트 앞선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여론조사 결과는 모두 유선전화만을 대상으로 한 조사였다. 문화일보가 의뢰한 업체는 ‘디 오피니언’이었는데, 유선전화 RDD(Random Digit Dialing·임의번호걸기) 방식을 사용했다.



한겨레신문과 한국사회여론연구소의 샘플은 겨우 500명이었다. 스마트폰시대에 가정집 전화로만 전화조사를 하고 샘플 수도 적으니 무늬만 여론조사인 셈이다.

실패한 여론조사 기관들은 그 시점에 그 같은 여론의 흐름이 있었다고 강변하지만, 이 주장은 다른 기법으로 조사한 여론조사를 보면 사실과 거리가 있다. 비슷한 시점 조선일보·미디어리서치, 서울신문·엠브레인, YTN·한국리서치, KBS 등 방송3사·미디어리서치 등 3사 컨소시엄의 조사 결과는 박 후보가 2∼5%포인트 앞섰다.

이들 언론기관과 업체는 기존 유선전화에다 휴대전화를 반반 병행해 조사했다. 휴대전화 사용자를 조사대상에 포함하면서 여론의 흐름을 어느 정도 사실에 가깝게 짚어낸 것이다.

결국 엉터리 조사는 낡은 방식에서 비롯된다. 이는 같은 신문사에서도 조사방식에 따라 결과가 판이하게 나온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다.

중앙일보 자체 여론조사 연구팀은 17, 18일 양일간 서울시내 169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나 후보가 박 후보를 3.6%포인트(45.9% 대 42.3%) 앞선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중앙일보가 사흘 앞인 14∼15일 한국갤럽에 의뢰, 휴대전화 사용자를 병행조사한 결과는 박 후보가 8.8%포인트 앞선다고 보도했다. 중앙일보의 혼선은 사흘 사이에 여론의 흐름에서 반전이 있었다기보다 휴대전화를 조사대상에 포함시켰느냐 아니냐는 차이에서 비롯됐다고 봐야 한다.

집전화 보유자의 30∼40% 정도만 KT 전화번호부에 등재하는 현실에서 이들만을 대상으로 조사하니 엉터리가 될 수밖에 없다. 이 결점을 보완한 게 RDD방식이지만 이 역시 유선전화 없이 휴대전화만 사용하는 유권자들을 포함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서울시민 가운데 휴대전화만 사용하는 가구가 18%가량 된다. 미국의 경우 3년 전 2008년 대선 때부터 휴대전화 조사 기법을 도입했다. 유선만 하니 공화당에 유리한 결과만 나왔다고 한다. 그래서 집전화, 휴대전화 병행조사가 보편화됐다. 그런데도 한국은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부실 여론조사가 난무하는 것은 부동표가 막판에 특정진영에 쏠리고 속마음을 숨기는 야권의 숨은 표가 적지 않은 한국적 상황 때문일 수 있다.

비용 절감에만 목매는 언론사 책임도 크다. 여기에 장삿속으로 이름 알리기에만 급급한 부실업체 난립도 혼선을 부채질하고 있다. 여론조사의 실패가 계속되면 여론조사 무용론이 득세할 수밖에 없다.


door.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