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MBA


logo

 
banner1
포토뉴스
연재/컬럼


미국 재무부가 지난 3일(현지시간) 연방 관보에 올린 북한 제재 대상 기관 및 개인 명단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감시망을 피하기 위해 위장회사 설립 등 다양한 은폐 수법을 활용해왔음을 보여줬다. 대량살상무기(WMD) 거래 과정에서 북한과 손잡고 일하다 미국의 제재 목록에 오른 외국인들도 마찬가지였다.

북한 인사로는 유일하게 미 정부의 제재 대상에 포함된 김동명 단천상업은행장은 김동명이란 이름과 함께 김진숙이란 가명을 함께 써온 것으로 확인됐다. 그는 김진숙의 영문 이름도 ‘Kim Chin-sok’과 ‘Kim jin sok’으로 혼용해 사용했다.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핵심 측근으로 해외 비자금을 관리해온 것으로 알려진 김동명은 미 연방 관보에 1964년생으로 표기돼 있었다. 미 정부가 북한과 WMD 거래를 한 혐의를 포착한 대만 국적의 알렉스 차이도 솨인 차이란 가명과 함께 관보에 등재됐다.

북한의 제재 기관들도 대다수가 불법 행위 전력을 감추기 위해 해외에서 서로 다른 영문 표기로 상호 등록을 하는 수법을 써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란의 샤히드 헤마트 인더스트리얼 그룹과 미사일 거래를 한 혐의로 지난해 미 정부의 제재 대상이 된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KOMID)의 경우, 창광신영무역과 대외기술회사 등의 회사명을 동시에 사용해왔다. 미 정부는 연방 관보에 이들 회사명을 함께 등재했다. 김동명이 책임자로 있는 단천상업은행도 창광신용은행이란 이름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선연화기계합작은 ‘연화’ 부분의 영문 표기를 ‘Yunha’, ‘Ryenha’, ‘Ryonha’ 등으로 각각 다르게 표기했다. 조선영광무역회사도 ‘영광’ 부분이 ‘Ryengwang’, ‘Ryongwang’으로 표기가 달랐다. 이들 회사의 한글 표기를 놓고 국내에서 혼선이 빚어지고 있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본지가 지난 5일자에 보도한 ‘미, 김정일 비자금 정조준, 북 24개 기관·개인 제재’ 제하의 기사에서도 김동명과 김진숙이 별개의 인사로 처리되고 북한의 제재 기관 등이 일부 중복됐다. 미 연방관보에 오른 북한 제재 대상 기관은 18개, 개인은 1명인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

또한 북한과 협조하다 제재 대상에 오른 외국 기업은 3개, 외국인은 3명인 것으로 새롭게 확인됐다. 흥미로운 사실은 제재 대상에 오른 북한 기관들 거의 대부분이 회사명의 영문 표기를 북한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Chosun’ 대신 한국 기업으로 오인될 수 있는 ‘Korea’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door.jpg
?

상호명 : 투데이닷컴(웹)/한인투데이(일간지) / 대표자 : 인선호 / E-Mail : hanintodaybr@gmail.com/webmaster@hanintoday.com.br
소재지 : R. Jose Paulino, 226번지 D동 401호 - 01120-000 - 봉헤찌로 - 상파울로 - 브라질 / 전화 : 55+(11)3331-3878/99721-7457
브라질투데이닷컴은 세계한인언론인협회 정식 등록사입니다. Copyright ⓒ 2003 - 2018 HANINTODA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