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발찌, 성폭력범 재범 욕구 확 꺾었다

by 인선호 posted Sep 01,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성폭력범의 재범 방지를 위해 지난해 9월 도입된 '전자발찌' 착용자들 대다수가 범죄 억제 효과를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법무부는 1일 '전자발찌 제도 시행 1년의 성과와 과제'를 발표하면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결과를 일부 공개했다.

조윤오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가 법무부 의뢰로 진행 중인 '전자감독제도 효과성 평가 연구' 중간결과에 따르면, 전자발찌 부착명령 종료자 63명 가운데 82.6%(52명)가 '착용기간 동안 가급적 불법행동을 피하려 했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매우 그렇다'는 55.6%(35명), '대체로 그렇다'는 27%(17명)였던 반면, '전혀 아니다'와 '그렇지 않다'는 8%(5명)에 불과했다.

'준수사항 위반시 발각되지 않고 넘어가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인식은 더욱 높았다. '매우 그렇다'가 51명, '대체로 그렇다'가 8명으로 조사돼 전체의 93.7%에 달했다.

또 '누군가 나의 위치를 24시간 추적하는 게 부담스럽다'는 응답이 68.2%(43명), '부착기간 동안 범죄행위에 대해 깊이 반성하게 됐다'는 답변도 63.5%(40명)로 나타났다. 전자발찌가 범죄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데 상당한 역할을 한다고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실제로 제도 도입 이후 지금까지 전자발찌를 착용한 인원은 총 472명으로, 이 중 성폭력 범죄를 다시 저지른 경우는 1명(재범률 0.2%)에 그쳤다. 법무부 관계자는 "재범 방지에 있어 전자발찌의 효과성을 입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오창익 인권실천시민연대 사무국장은 "성범죄 재범률은 통상 3~5년의 기간을 잡고 살펴봐야 한다"며 "법무부의 자화자찬과 달리 전자발찌 제도는 시행한지 1년밖에 안돼 아직 유의미한 통계가 나올 수 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다만 구금형의 폐해 방지를 위한 대체형으로서 검토해 볼 필요는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관련법 시행 후 재판 과정에서 부착명령이 확정돼 향후 전자발찌 착용이 예정된 70건 중 절반 이상(36건)은 13세 미만 아동을 상대로 한 성범죄인 것으로 나타났다. 법원의 부착명령 선고기간은 2~3년이 65%로 가장 많았고, 5~7년은 26%였으며 부착기간 최대 한도인 10년도 4.2%나 됐다.



door.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