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이 대포동 2호 미사일을 발사하려는 움직임과 관련해 북측에 ‘심각하게 우려한다’는 뜻을 담은 정부의 공식 입장을 지난달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본보 15일자 A1·3면 참고청와대 고위 당국자는 15일 “상황이 만약 이대로 간다면 미사일 시험발사를 할 수도 있다는 판단이 나왔다”며 “발사 가능성을 계속 면밀히 주시하고 있고 심각한 우려를 갖고 대응 방안을 면밀히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현재로선 북한이 이른 시일 내에 미사일 발사를 강행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미사일을 발사하려면 추진체 조립과 연료 주입 등 구체적 단계가 필요한데 아직 이런 ‘확실한 징후’들이 없다는 것.
미국은 첩보위성인 KH-11을 비롯한 첨단장비들을 총동원해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에 있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험장을 손금 보듯 관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는 시험장 인근에 몇 대의 대형 트레일러가 오가는 장면만 포착됐을 뿐 의미심장한 발사 징후들이 포착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특히 1998년 1차 미사일 위기 때와 달리 미국의 일관된 강경 대응을 북한이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달 초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이 미국을 방문했을 때 미 당국자들이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하는 한편 개성공단 개발 등 남북 경제협력 정책을 재고할 것을 반 장관에게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게다가 북한이 미사일 발사 시 미국이 동해에 배치한 이지스함에서 요격미사일을 쏴 격추할 경우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될 수 있다는 점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과거 고비마다 ‘벼랑 끝 전술’을 구사해 온 북한이 돌출행동을 재시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데 정부의 고민이 깊다.
1998년 때 한국을 비롯한 주변국의 강력한 경고와 만류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미사일 발사를 강행해 엄청난 파장을 자초한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북한이 미사일을 실제 발사하기까지는 3단 로켓으로 나눠진 미사일 추진체 조립(1일)과 액체연료 주입(7일가량)을 포함해 대략 7∼10일 걸릴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특히 한미 정보당국은 일단 미사일 본체에 액체연료를 채웠다가 발사를 취소하고 이를 빼내려면 최소 20여 일이 걸리고 비용 손실도 커 액체연료 주입 단계를 가장 확실한 발사 징후로 보고 있다.
한편 이날 6·15공동선언 기념 남북 당국 대표단 좌담회 자리에서 북측 대표단은 “(미사일 발사 움직임에 대해) 남측이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