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지어 휴대전화 이용자 10명 중 1명은 휴대전화 통화를 하면서 이상증상을 느껴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도 많은 이들이 휴대전화를 사용할 때 인체에 흡수되는 전자파의 양을 표시하는 전자파 흡수율(SAR)에 대해 아예 들어본 적이 없거나 휴대전화 구입시 SAR를 고려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서혜석 의원(열린 우리당)은 최근 시민환경연구소와 함께 전국의 만 20세 이상 성인남녀 1천34명을 상대로 '휴대전화 전자파 유해성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의 신뢰수준에 ±3.05%p다.
조사에 따르면 휴대전화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에 대해 37.5%가 '유해하다'고 응답했으며 55.5%는 '영향이 있겠지만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응답, 93%가 휴대전화 전자파가 유해하다는 사실에 동의했다.
휴대전화 전자파가 '유해하다'고 피력한 응답자 가운데 여성(42.7%)의 비율이 남성(32.2%)보다 높았으며 20대에 비해 30대 이상의 연령대가 휴대전화 전자파의 유해성에 대해 더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휴대전화를 이용하면서 신체 이상 경험을 묻는 질문에 10.9%가 '있다'고 대답했으며 이상증상으로 '귀가 일시적으로 멍한 느낌'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두통, 피로감, 정신 집중력 약화 등이 뒤를 이었다.
이상증상을 경험했다는 응답자 중 여성(13.1%)의 비율이 남성(8.6%)보다 높았으며 대졸 이상(13.4%)이 고졸 이하의 학력층(8.1%)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험률을 보였다.
그러나 대다수 휴대전화 사용자들은 SAR에 대해 무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SAR에 대해 76.5%가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한 반면 '있다'는 비율은 23.5%였다.
SAR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대답한 응답자 중 남성(73.5%)보다는 여성(79.4%)이, 학력별로는 대졸이상(73.6%)보다 고졸이상(79.6%)의 인지도가 더 낮았다.
휴대전화 단말기 구입시 SAR 고려 여부를 묻는 질문에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율은 84.1%로 '고려한다'(15.9%)보다 월등히 높았다.
휴대전화 전자파 정보 정보를 접하는 경로에 대해 '언론매체'가 90.3%로 절대적이었으나 단말기 제조사나 정부 기관은 각각 1.1%와 0.8%에 불과했다.
휴대전화 전자파를 막기 위해서 취하는 자구행동으로는 '가급적 유선전화를 이용한다'(23.6%), '통화는 짧게 하며 문자메시지로 대체한다'(15.2%), '이어폰 등 보조기구를 사용한다'(11.1%) 등의 순이었다.
서혜석 의원은 "SAR를 의무적으로 공개토록 규정한 전파법 개정법률안이 2003년 6월 발의됐으나 아직 과기정위에 접수만 됐지 상정조차 안된 상태"라면서 "휴대전화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이 최종적으로 입증되지는 않았지만 이상증상을 호소하는 등 개연성이 높은 만큼 정확한 규명과 예방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