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황우석 교수, 어떻게 세계를 속였나</b>

by 인선호 posted Jan 10, 20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황우석 교수팀의 인간 배아 줄기세포 연구논문들에 모두 중대한 조작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국내는 물론 세계 과학계도 어이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황우석  교수팀의 줄기세포 연구결과에 깊은 신뢰와 찬사를 보내던 내로라하는 세계 과학계 석학들은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황우석 교수는 어떻게 수많은 국내 인사들은 물론이고 해외 줄기세포 연구 전문가들까지 감쪽같이 속일 수 있었을까?황교수가 해외 과학계를 속일 수 있었던 데에는 국내에서와 마찬가지로 특유의 입담과 친화력, 사이언스와 네이처 등 유력 언론을 활용하는 뛰어난 수완 등이 큰 역할을 했다는게 미국 언론의 분석이다.

뉴욕타임스는 10일 황교수가 미국에서 자신의 연구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는 강연을 한게 전문가들로 하여금 그의 연구결과를 믿게 만든 한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젓가락 기술' 등의 전문적인 기법들을 소개하며, 자신의 줄기세포 연구가 모두 진짜인 것처럼 설명한게 미국 전문가들을 사로잡는데 주효했다는 것.

줄기세포 연구의 권위자인 어빙 와이스만 스탠퍼드대 교수는 "황교수는 구체적인 기법들을 자세히 밝히며, 어떻게 줄기세포를 만들어냈는지를 사람들에게 설명했다"고 말했다.

게다가 황교수가 이 분야 미국 최고의 전문가로 꼽히는 제럴드 섀튼 피츠버그대 교수를 끌어들인건 그의 연구를 의심하지 않게 만든 결정적 계기가 됐다.

와이스만 교수는 "사람들은 모두 섀튼이 어떻게 교신저자가 됐는지 의아해 했지만, 그의 황교수에 대한 `보증'은 황교수의 연구를 더욱 그럴듯하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황교수가 세계 최고의 과학전문지인 사이언스와 네이처에 번갈아 논문을 발표해 성가를 높인 것도 그의 연구결과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심을 잠재우는데 큰 기여를 한 것으로 꼽힌다.

사이언스와 네이처는 논문 게재과정에서 연구 결과의 오류를 잡아낼 책무가 있지만 논문의 과학적 검증은 사실상 어렵다는걸 스스로 인정하고 있다.

사이언스지는 2005년 황교수팀이 11개의 환자맞춤형 줄기세포를 만들었다는 논문을 제출하자 보통의 경우보다 더욱 엄격한 심사 절차를 거쳤다고 밝히고 있다.

보통 논문의 경우 외부 전문가 2명이 검증작업을 하지만 황교수팀 논문은 6명의 외부 전문가가 동원돼 정밀 검증작업을 벌였다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문의 문제점이 발견되지 못하자, 황교수팀의 연구결과는 세계 어떤 전문가도 문제를 제기하기 어려울 정도의 반열에 오르게 된다.

실제로 황교수팀의 최대 줄기세포 연구 경쟁자로 꼽혀온 로버트 랜자 어드밴스드 셀 테크놀로지(ACT) 부사장은 황교수의 2004년 논문이 제출된 직후부터 논문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내는 물론 해외 전문가들까지 감쪽같이 속여넘긴 황교수팀의 `거짓 논문'은 100년이 훨씬 넘는 역사와 권위를 자랑하는 사이언스지가 검증 시스템의 변화를 모색하지 않을 수 없는 사태까지 야기했다.

사이언스지는 10일 도널드 케네디 편집장 명의의 성명을 통해 "우리는 이들 두 논문의 과거 편집 과정을 체계적으로 점검하고 있으며 이들 논문의 평가 절차도 함께 점검해 이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이언스지는 "연구 부정행위 적발 절차를 재평가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한뒤, 그 결과를 과학계와 협의할 것"이라고 말해 기존의 논문 검증 시스템에 대한 총체적인 점검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door.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