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만에 “바꿔치기” 반박…“조작” 재반박

by 인선호 posted Dec 16, 20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황우석 교수와 MBC PD수첩팀 사이에 벌어졌던 줄기세포 진위 공방이 황교수와 노성일 미즈메디병원 이사장의 진실 공방으로 이어지고 있다.

황교수는 16일 기자회견을 통해 “배아줄기세포는 있는 것이 확실하며 원천기술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노이사장은 황교수 회견 직후 반박 기자회견을 갖고 “논문에 발표한 11개의 줄기세포 중 9개는 데이터가 조작되었으며 2개만 현재 보관 중”이라고 밝혔다.

황교수는 줄기세포 존재를 밝히기 위해 검찰 수사를 요청했고 노 이사장은 ‘미즈메디병원을 희생양으로 만들기 위한 시나리오’라고 맞섰다. 황우석 교수가 16일 서울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줄기세포 진위 논란과 관련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줄기세포 11개는 모두 사실인가=황교수는 “다 만들기는 했으나 오염과 사고로 훼손됐다”고 말한다. 황교수팀은 줄기세포 2개를 먼저 만들었고, 또 6개를 다시 만들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1월9일 심각한 오염 사고가 발생해 줄기세포를 모두 망쳤으며 이후 6개를 추가로 수립해 이를 토대로 사이언스지에 논문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후 나머지 3개는 추가로 만들었다고 했으나 언제 만들었는지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황교수는 기자회견 질의응답 중 “11개의 줄기세포가 모두 있느냐”는 질문에 처음에는 “다 있다”고 했다가 나중에는 “11개면 어떻고 1개면 어떠냐”고 되물었다. 줄기세포가 몇개 만들어졌는지 명확히 확인하기 힘든 대목이다.

이에 대해 노이사장은 “11개의 환자맞춤형 줄기세포를 다 만들었다는 것을 믿을 수 없다”고 밝혔다. 다만 미즈메디병원에 2개의 줄기세포주가 있으니 검증을 통해 사이언스 논문의 줄기세포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노이사장의 주장에 따르면 9개의 줄기세포는 조작된 것이고 나머지 2개는 DNA 분석을 통해 진위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즈메디가 줄기세포 바꿔쳤나=황교수는 지난 11월말 연구팀의 내부 조사 및 확인 과정에서 줄기세포가 바뀌어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환자맞춤형 줄기세포가 사라지고 어느 순간 미즈메디병원의 수정란 줄기세포로 바뀌었다는 설명이다.

황교수는 줄기세포가 수립된 첫단계(제1계대)에서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가 미즈메디병원 줄기세포로 뒤바뀐 것이 아닐까라고 추정했다. 현재 황교수는 “갖고 있는 줄기세포주는 미즈메디병원에서도 아직껏 논문이나 존재사실, DNA 특성이 외부로 공개 안된 줄기세포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체세포를 제공한 환자의 성별과 바뀌어진 미즈메디병원 줄기세포의 성별이 완전 일치한다”며 의문을 표시했다. 노이사장은 “처음부터 줄기세포가 없었다면 모르지만 만들어진 줄기세포를 우리가 바꿀 이유는 없다”고 밝혔다.

그는 또 “과거에 한번 황교수가 미즈메디병원의 셀(줄기세포)을 갖고 있다고 말해 우리가 준 적이 없는데 어떻게 갖고 있을까라고 생각한 적이 있다”며 황교수가 미즈메디의 줄기세포를 가져다가 환자맞춤형 줄기세포로 분양했을 가능성을 언급했다. 황교수는 “미즈메디병원에 이미 보관중이던 2번· 3번 줄기세포주만 다시 서울대에 반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노이사장은 “나에게 동의도 구하지 않은 채 마음대로 줄기세포를 갖고 갔다”고 했다.  

노성일 미즈메디병원 이사장이 16일 서울 강서구 미즈메디병원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황우석 교수의 주장을 반박하고 있다.

김선종 연구원은 무얼했나=황교수는 줄기세포가 바뀐 사실을 언급하며 “서울대 실험실과 미즈메디를 함께 드나들 수 있는 사람”이라고 말해 김연구원이 세포를 바꾸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러나 김연구원이 2·3번 줄기세포 사진으로 4번 사진을 만들어냈다는 증언 등에 대해서는 별다른 해명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노이사장은 “황교수의 지시로 김연구원이 논문 조작을 했다”고 밝혔다. 그는 김연구원이 PD수첩의 취재 때 솔직한 답변을 했으나 이후 황교수의 회유에 따라 진술을 바꿨으며 YTN과의 인터뷰도 실시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줄기세포 오염과 검증=황교수는 지난 1월9일 실험실의 심각한 오염으로 줄기세포가 모두 훼손됐고 이를 미즈메디병원으로 옮겨 소생시키려했으나 살리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노이사장은 지난해 11월말이나 12월초 쯤 서울시내 모 호텔에서 안규리 교수와 함께 있는 자리에서 줄기세포 오염에 대해 들었으며 “기술은 있으니 앞으로 만들면 되지 않겠느냐”고 위로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후 2개월동안 줄기세포 6개를 다시 만들어내고 12주나 걸리는 테라토마 검사를 했는지 의문이라며 줄기세포 오염 이후 새로 만들지 못했을 것임을 시사했다. 양측의 주장에 따르면 어떤 방식으로든 검증 작업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노이사장은 미즈메디병원에 보관 중인 2개의 줄기세포를 언급하고 있다.

그는 “2, 3번 줄기세포를 냉동 상태로 1개씩 갖고 있으며 15일부터 해동 작업을 하고 있다”며 “15일 후면 DNA 지문 분석이 끝나고 진짜 체세포배아복제 방식으로 만든 줄기세포인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황교수는 “아직 진위 여부를 확인 못한 줄기세포 5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밝혀 서울대 실험실에 5개의 줄기세포가 있음을 시사했다.

양측에서 주장하고 있는 줄기세포의 존재를 확인하고 환자의 체세포와 비교해봐야 사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논문은 조작됐나=대해서는 양측이 동의하고 있는 현상이다. 그러나 취소 이유와 과정에 대해서는 말이 엇갈린다.

노이사장은 “11개의 줄기세포가 있다고 발표했는데 하나라도 틀리면 학자적 양심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논문 철회를 주장했다. 또 인터넷에서 제기된 DNA지문, 사진 중복 등을 토대로 볼 때 논문이 조작됐을 가능성도 높다고 보고 있다.

황교수는 “(실험을 통해) 취합된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대측에서 논문을 작성하고 섀튼 교수의 자문을 거쳐 최종적으로 사이언스지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노이사장은 “황교수팀이 사진, 데이터를 모두 섀튼에게 주었고 섀튼이 논문을 작성했다”고 주장했다. 노이사장은 논문의 주요 저자인 황교수와 섀튼이 논문에 대해 공동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door.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