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츠버그대 교수 "오늘은 한국 과학계 잔칫날"

by 인선호 posted Dec 15, 20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황우석 교수팀의 배아줄기세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15일 설대우 피츠버그대 의대 교수는 "오늘은 한국 과학계의 국치일이 아니라 오히려 잔칫날"이라고 밝혔다.

설 교수는 이날 연합뉴스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이번 사건으로 황 교수 등 일부 몰지각한 인물을 제외하고 한국 과학계가 자정작용을 잘 갖추고 있음이 확인됐다"며 "오늘이 한국 과학계의 국치일이라는 일부 발언은 무지한 것이며 오히려 잔치를 벌여야 할 날"이라고 말했다.

설 교수는 "미국에서 연구 관련 부정행위(misconduct)에 대해 엄격한 규칙이 확립돼 있는 것은 그만큼 부정행위가 많았기 때문"이라며 "이런 일은 흔히 일어나는 일이어서 네이처나 사이언스도 크게 신경 안 쓰며 한국도 이번 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것으로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줄기세포 연구에 대해 설 교수는 "줄기세포가 있으나 없으나 갈 길이 멀기는 마찬가지지만 상당한 잠재력을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사실이 밝혀졌다고 전혀 실망할 필요가 없으며 이제 제대로 연구를 시작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또 "한국은 인간생명 관련 연구 허용폭이 넓고 기술도 갖추고 있어 줄기세포 연구 여건이 매우 좋아 한국의 줄기세포 연구는 끝이 아니라 이제 시작"이라며 "오히려 황 교수가 깔아놓은 인프라를 좋은 학자들이 활용해 앞으로 훨씬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가 가능할 것"이라고 낙관했다.

서울대와 피츠버그대의 조사와 관련해서는 "논문 철회는 당연하지만 조사는 이제 시작이며 이것으로 끝이라고 서울대가 나오면 전 세계가 비난할 것"이라며 "피츠버그대도 반드시 조사해서 공개할 의무가 있으며 사건 관련자는 부정행위에 대해 매우 엄격한 책임을 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섀튼 피츠버그대 교수에 대해 "그가 만약 조금이라도 연루된 것으로 밝혀지면 현재 받고 있는 10개 이상의 연구비를 모두 반납하고 학계 어디서도 발을 못 붙여 일개 노동자로 전락할 것"이라며 "현지 조사가 매우 빨라지고 있어 조만간 섀튼이 자신의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설 교수는 "이번 사건이 일어난 것은 인간 배아 등 윤리적으로 민감한 문제를 몇몇이서 다뤘기 때문"이라며 "다른 나라처럼 과학계에서 투명하게 감시했으면 이런 일은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설 교수는 그러나 "황 교수가 심하게 말하면 사이비 교주같은 위치였는데 PD수첩이나 소수 네티즌들이 다수의 비난을 감수하면서 진실을 밝혀낸 것이 대단하다"고 덧붙였다.

설 교수는 고려대 유전공학과를 나와 피츠버그의대에서 교수로 임명돼 암 관련 연구를 벌이고 있다.

door.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