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회의에서 계속 왕따당하는 일본…“고이즈미와는 대화 안해”

by 우현민 posted Dec 12, 20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근 잇따른 동아시아 국제회의에서 야스쿠니 신사참배 등으로 주변국과 갈등을 빚고 있는 일본 왕따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9월 중국 베이징 6자회담,11월 부산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에 이어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3(한·중·일)’정상회의에서도 일본의 왕따는 계속되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과 원자바오 중국 총리는 12일 오전(이하 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 시내 호텔에서 회담을 갖고 ‘아세안+3’ 기간중 의례적으로 개최됐던 한·중·일 3국 정상회담이 무산된 책임이 전적으로 일본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두 정상은 특히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참배 및 역사인식의 문제점을 지적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아세안+3’ 정상회의가 열린 KLCC(쿠알라룸푸르 컨벤션센터) 대기실에서 회의 직전 고이즈미 총리는 우연히 3국 정상이 만날 기회가 생기자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섰지만 분위기는 다소 썰렁했다.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아세안+3 정상회의에 앞서 아세안 국가끼리의 회의가 있어 먼저 대기실로 안내를 받아 들어와 기다리던 노 대통령을 비롯해 원 총리와 고이즈미 총리가 4∼5분간 한류를 화제로 환담했다”고 소개했다. 먼저 고이즈미 총리는 노 대통령을 향해 “일본에 한류열풍이 높고,중국에도 한류열풍이 높다”며 대화분위기를 유도했다. 이에 노 대통령은 “문화적 현상을 본다면 2500년전부터 중국의 문화가 한국에 유입됐고,100년전부터는 일본문화가 한국에 유입됐으며,5년전부터는 한국 문화가 두 나라로 가고 있다”면서 “한류를 상업적 이익 보다는 3국간 문화적 공감대를 구축할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고만 말했다. 이후 원 총리가 먼저 자리에서 일어서 정상회의장으로 들어가 버렸고,고이즈미 총리는 노 대통령에게 추가로 최근 일본에서 있었던 한국 공연과 관련한 얘기를 꺼내는 등 애쓰는 모습이 역력했다.

앞서 8일 마하티르 모하마드 전 말레이시아 총리는 말레이시아 현지 중국어 신문인 ‘신쭈짓뽀’ 와 회견에서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참배로 중·일관계가 악화되는 바람에 ASEAN+3 내부에도 균열이 생기고 있다”면서 “일반 국민은 모르겠지만 총리는 참배하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door.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