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에 두번 간다니까 나보고 생각 잘했대요"

by 우현민 posted Dec 06, 20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대부분 젊은이들이 한 번 가는 것도 싫어하는 데가 군대다. 하지만 두 번씩이나 군대에 가는 사나이들이 최근 크게 늘고 있다.

장교나 부사관, 병사로 군 생활을 마친 뒤 사회에 진출하고 싶어도 취업난이라는 장벽에 부딪히자 다시 '군문'을 두드리는 젊은이들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5일 육군에 따르면 최근 부사관 지원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군 복무를 마친 뒤육군 부사관으로 재입대한 사람은 2003년 106명에서 지난해 476명으로 급증한 데 이어 올 들어서도 9월까지 421명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육군 부사관 합격자 중 예비역 비율도 2003년 1.68%에서 지난해 4.69%로 대폭 높아졌다.

지난해 예비역 출신 합격자 가운데 '전직'이 병사였던 사람은 297명, 부사관은177명, 장교는 2명이었고 올해 9월까지는 병사 출신이 247명, 부사관 출신이 170명, 장교 출신이 4명이었다. 특히 지난해부터 장교 출신이 부사관으로 재입대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는 점도 눈에 띈다.

이처럼 군 복무를 마친 예비역들이 다시 군대 문을 노크하는 것은 수년째 경기침체를 겪으면서 기업들의 채용규모가 늘지 않는 등 취업문이 매우 좁아진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즉 병사 출신이든 장교 출신이든 군에서 2~4년 정도 생활한 뒤 전역했지만 취업이 만만치 않자 하사 임관시 9급 공무원 수준 대우를 받는 부사관으로 '취업'하는 것이다.

군 관계자는 "군에서 전역 후 취업하기가 쉽지 않다보니 부사관을 직업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강해진 것"이라며 "군 복무 경험자들이 들어온다는 점에서 군으로서는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장교로 전역한 뒤 자영업을 하다 최근 육군 부사관 시험에 합격한 이 모씨는 "부사관은 안정적인 직업"이라며 "청년실업 등 심각한 취업난의 영향을 받은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들 예비역 출신 부사관들은 군 복무 경험이 있지만 군에 처음 들어오는 일반인 출신 부사관과 똑같이 기본 훈련과정을 거쳐야 하사 계급장을 단다.

따라서 장교나 중사로 전역해 부사관이 된 사람들은 전역 때보다 낮은 계급으로 군 생활을 다시 시작하는 셈이다.

육군부사관학교 측은 이런 점을 개선하기 위해 장교와 부사관 출신자들은 하사임관 후 조기 진급 기회를 주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경기침체 영향으로 부사관으로 4년 간 의무복무를 한 뒤 전역하지 않고 장기복무를 지원하는 사람도 크게 늘고 있다.

육군 부사관 장기복무 신청은 2000년 2296명에서 지난해 5283명으로 늘어났다.

4년 사이에 2.3배 수준으로 증가한 것이다.

연도별 지원자는 2000년 2296명, 2001년 3432명, 2002년 3259명, 2003년 4434명, 2004년 5283명이다.


door.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