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MBA


logo

 
banner1
포토뉴스
연재/컬럼


북한이 제네바 합의 이후에도 70여 차례의 고폭(高爆)실험을 실시, 지금까지 총 140여 차례의 고폭실험을 실시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됨에 따라 북한의 핵개발 수준과 제네바 합의 위반 여부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고폭실험은 고성능 폭약을 폭발시켜 정확한 타이밍(100만분의 1초)에 플루토늄이 핵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핵실험 직전 단계, 즉 핵개발의 마지막 단계 중 하나로 분류되고 있다.


◆ 북한의 핵개발 수준 =전문가들은 북한이 많은 고폭실험을 통해 핵무기의 핵폭발을 유도하는 핵심 장치인 기폭(起爆)장치를 이미 완성했거나 완성단계에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국방연구원 신성택(辛成澤) 전력발전연구센터장(핵공학박사)은 "북한이 140여 차례의 고폭실험을 실시했다는 것은 북한의 핵개발이 초보적 수준을 벗어나 상당 수준에 도달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신 박사는 "미국이 사상 첫 원자폭탄을 개발한 맨해튼 계획에서는 2500회의 고폭실험을 실시했지만 과학기술의 발달로 지금은 수십 차례의 고폭실험만으로 초보적 수준의 기폭장치와 핵무기를 개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신 박사는 "북한은 소형, 경량화된 핵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당분간 고폭실험을 지속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핵공학박사인 신재곤 합참 전력분석과장(육군 대령)도 최근 군 기관지인 ‘합참’지에 기고한 논문을 통해 "파키스탄의 핵무기 개발 책임자인 압둘라 칸 박사는 (히로시마에 투하된 것과 비슷한) 20킬로톤(KT) 정도의 소형 핵탄 개발에는 핵 실험 없이 수십 회의 고폭실험만으로 핵개발이 가능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며 "핵무기 개발에 핵실험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라 고폭실험과 같은 간이 모의실험만 실시해도 개발에는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정보 당국은 그동안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기술적인 낙후성으로 인해 중량이 3~4t에 달해 미사일이나 폭격기, 전폭기 등에 탑재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해 왔다.


북한의 스커드, 노동1호, 대포동1호 등 우리나라와 일본, 미국을 위협하고 있는 장거리 탄도미사일의 탄두중량은 0.7~1t이어서 탄두를 소형화하지 않으면 탑재하기 어렵다.


◆ 제네바 합의 위반 여부 =북한의 고폭실험이 제네바 합의를 위반한 것이냐에 대한 논란이 있는 것과 관련, 전문가들과 당국자들은 대체로 핵시설 동결 및 핵개발 포기를 약속한 제네바 합의정신을 어겼기 때문에 제네바 합의를 사실상 위반한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제네바 합의서가 고폭실험 금지를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고폭실험이 핵개발의 핵심요소이기 때문에 핵개발 포기를 약속한 제네바 합의를 사실상 위반했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정옥임(鄭玉任) 전 미 브루킹스연구소 동북아정책 연구위원은 "제네바 합의서 후속 문서 등은 북한이 핵시설을 동결하고 핵개발 활동을 하지 않겠다는 점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중요 핵개발 활동인 고폭실험은 제네바 합의를 사실상 위반한 것"이라고 밝혔다. 익명을 요구한 국방부와 외교부 관계자들도 "제네바 합의정신을 위반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물론 미 정부까지 왜 고폭실험에 대해 북측에 적극적인 문제 제기를 하지 않았는지는 의문으로 남아 있다. 제네바 합의에 명시적으로 고폭실험 금지가 규정돼 있지 않고 미 정부도 공식적인 문제 제기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북한의 고폭실험이 제네바 합의 위반이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이와 관련, 북한이 미국의 첩보위성 등으로부터 감시받는다는 것을 알면서도 한·미 양국으로부터 양보를 얻어내기 위해 고폭실험을 계속 실시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한 정보 소식통은 "98년 금창리 지하 핵의혹 시설이 근거 없는 것으로 판명났을 때 인근에 있는 용덕동 고폭실험장의 고폭실험이 ‘협상용’이 아니냐는 분석이 있었다"며 "그러나 북한은 그 뒤에도 작년 9월까지 계속 실험을 실시했기 때문에 단순 협상용으로 보기는 어려운 것 같다"고 지적했다.



door.jpg
?

  1. No Image

    화장용 팩 상당수 중금속 ''과다'' 검출

    팩 제품 중금속 항목 규정조차 없어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수입 및 국산 화장용 팩제품에서 납과 수은 등 중금속이 다량 검출됐다. 15일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이 내놓은 `화...
    Views1488
    Read More
  2. 김정희 ''세한도'' 5년만에 다시 본다

    순백(純白)과 절제미의 조선 백자(白磁) 중 최고 명품들과 양반이 지녔던 정신세계의 정화(精華)를 표현한 것으로 꼽히는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세한도(歲寒圖)’를...
    Views1744
    Read More
  3. "이등병, 너 예쁘장하네" 심각한 군내 성희롱

    조선일보제대후에도 정신적 고통...추억대신 악몽뿐" 군대 이등병 시절 내무반 선임병장에게 성폭행당했던 대학원생 L(28)씨는 8년째 고통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96년 경...
    Views3736
    Read More
  4. NYT "한국 자동차 디자인 베끼는데 부끄러운줄 몰라"

    조선일보한국 자동차 업체들은 고가의 외국 자동차 모델과 동급으로 보이기 위해 디자인을 베낀다고 미국의 뉴욕타임스가 13일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이날 “전세계 자동...
    Views2319
    Read More
  5. No Image

    조건 까다로워져.... 기업대표 4촌도 못받아

    조선일보산업기능요원 또는 전문연구요원 등 병역 특례자로 선발돼 군대 대신 기업(특례업체)이나 연구소에서 병역의무를 이행하는 데 따른 조건이 강화된다. 이에 따라 앞...
    Views1950
    Read More
  6. "유치 가능성 낮다" 신문기사 발신지는 한국?

    조선일보''김운용 책임론'' 15일 결론 김운용(金雲龍)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의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방해 의혹과 관련, 체코 프라하 현지에 배포된 것으로 알려진 ...
    Views1806
    Read More
  7. No Image

    카드빚 항의하는 아내 바다에 익사시키려던 40대 영장

    조선일보전남 여수경찰서는 11일 아내를 바다에 빠뜨려 살해하려 한 혐의(살인미수)로 박모(44.여수시 봉강동)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경찰에 따르면 박씨는 지난 9...
    Views2008
    Read More
  8. 한국경제 2분기에 과연 바닥쳤나

    조선일보경제성장률 1.9%에 그친 2분기(4~6월)에 정말 경기(景氣)의 바닥을 찍은 것일까. 정부와 한국은행, 국책·민간 연구소들이 일제히 “3분기(7~9월)부터는 경기가 완만...
    Views1673
    Read More
  9. “고폭실험만으로도 核무기 개발 가능”

    북한이 제네바 합의 이후에도 70여 차례의 고폭(高爆)실험을 실시, 지금까지 총 140여 차례의 고폭실험을 실시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됨에 따라 북한의 핵개발 수준과 제네...
    Views2149
    Read More
  10. No Image

    "核문제 南과도 논의가능해"

    남북은 10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제11차 장관급 회담 첫 전체회의를 갖고 남ㆍ북한과 미ㆍ중ㆍ일이 참가하는 다자회담 개최 등 핵 문제의 해결방안, 이산가족 문제 및 교류협...
    Views1504
    Read More
  11. 매트릭스 장면을 서울 한복판에서 보게되나?

    조선일보영화 ‘매트릭스’의 핵심인물인 ‘네오’와 ‘스미스 요원들’의 숨막히는 추격전을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볼 수 있을까. 최근 일본 네티즌들이 영화 ‘매트릭스 2 리로...
    Views1891
    Read More
  12. No Image

    기아자동차, 美 소비자 불만 제일많은 브랜드

    조선일보한국산(産) 자동차가 미국 소비자들로부터 최하위권의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품질 조사 업체인 미국의 JD파워가 8일 발표한 ‘연례자동차 만족도 조사’에서 나타...
    Views174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Next
/ 390
상호명 : 투데이닷컴(웹)/한인투데이(일간지) / 대표자 : 인선호 / E-Mail : hanintodaybr@gmail.com/webmaster@hanintoday.com.br
소재지 : R. Jose Paulino, 226번지 D동 401호 - 01120-000 - 봉헤찌로 - 상파울로 - 브라질 / 전화 : 55+(11)3331-3878/99721-7457
브라질투데이닷컴은 세계한인언론인협회 정식 등록사입니다. Copyright ⓒ 2003 - 2018 HANINTODA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