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核문제 南과도 논의가능해"

by 다니엘 posted Jul 10, 20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남북은 10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제11차 장관급 회담 첫 전체회의를 갖고 남ㆍ북한과 미ㆍ중ㆍ일이 참가하는 다자회담 개최 등 핵 문제의 해결방안, 이산가족 문제 및 교류협력 현안 등을 논의했다.


정세현(丁世鉉) 남측 수석대표는 이날 기조발언에서 “북측이 확대 다자회담을 시급히 수용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이 회담을 수용할 경우 북한의 안전문제가 보장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북핵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심각한 우려를 전달하면서 다자회담이 성사될 경우 국제사회의 경제협력 뿐 아니라 남북 경협도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고 신언상(申彦祥) 회담 대변인이 전했다.


이에 앞서 김령성 북측단장은 모두발언에서 “조선반도를 둘러싼 정세는 핵전쟁이 일어날 수 있는 경지에 다다랐다”면서 “이번 회담이 조ㆍ미간 문제를 토론하는 회의는 아니지만 이런 문제를 두고서 의견을 교환하자”고 밝혔다. 남북회담에서 핵문제 논의를 회피하거나 소극적이었던 북측이 이 같은 입장을 밝힌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김 단장은 이어 “우리는 어떤 외세와도 대화를 하자면 대화를 하고, 전쟁을 하자면 전쟁을 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그러나 우리 입장은 대화로서 평화적 해결을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 대변인은 이와 관련, “북측이 이날 제시한 공동발표문 초안에는 핵문제가 언급돼 있지 않다”며 “향후 토의를 통해 핵문제를 합의에 담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측은 이날 회담에서 한반도 긴장완화와 군사적 신뢰구축을 위해 제2차 국방장관 회담의 조속한 개최를 촉구하는 한편, 장관급 회담 산하에 사회문화교류추진위원회 구성과 이산가족 상봉행사,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조기 건설 등을 제의했다. 남측은 최근 국정원이 확인한 폐연료봉의 재처리 및 고폭실험 문제도 우회적으로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북측은 6ㆍ15 남북 공동선언의 충실한 이행을 강조하면서 주한미군의 전력증강, 우리 군의 ‘주적론’ 등이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고 지적하고, 특히 한반도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 남북간 민족공조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door.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