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이집트 원조 놓고 논란가열…미국민 51% '중단해야'

by anonymous posted Aug 20,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ffff.PNG

이집트 군부의 시위 무력 진압으로 유혈사태가 이어지면서 이집트에 대한 군사원조 중단을 놓고 미국에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한 설문조사에서는 미국민의 51%가 대(對) 이집트 군사원조 중단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 원조를 끊으면 미국 기업들의 피해가 예상된다는 등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미국 여론조사 전문기관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지난 15∼18일 미국 성인 1천명을 상대로 '이집트 사태에 대한 미국의 더 나은 접근법'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51%가 '군사원조를 중단해 이집트 정부를 압박해야 한다'는데 동의했다.

 

'군사원조를 계속해 (이집트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을 유지해야 한다'는 항목을 택한 응답자는 26%에 머물렀다. 나머지 23%는 의견을 표시하지 않았다.

 

지금까지 이집트 사태와 관련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대처에는 응답자의 50%가 '충분히 강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반면 '옳은 편이다'라는 응답은 12%였고 '지나치게 강하다'는 답변은 6%에 그쳤다.

 

미국민의 절반이 이집트 사태 해결을 위해 미국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며 군사원조 중단을 '카드'로 사용하는 데에 찬성한다는 얘기다.

 

그러나 미국 정부가 이집트 군부 과도정부를 '쿠데타 정권'으로 규정해 군사 원조를 중단하게 되면 미국에도 상당한 여파가 미친다는 전망도 나왔다.

 

미국 온라인매체 허핑턴포스트는 이날 비영리 연구기관인 남부연구재단(ISS) 조사를 인용해 대 이집트 군사원조 중단 시 영향을 받을 미국 기업들을 꼽았다.

 

2010년 F16 전투기 20대와 야간투시장비(2억5천900만 달러·2천900억원 상당)를 이집트에 공급하기로 한 록히드마틴과 같은해 아파치 헬기 10대 공급(2천250만 달러·252억원) 계약을 한 보잉 등 군수업체들을 중심으로 타격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미국 CBS는 이집트에 탱크를 공급해온 '제너럴 다이내믹스'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이 회사의 M1A1 탱크 제조설비가 있는 펜실베이니아주에만 부품업체 등 관련 기업이 44곳이나 몰려 있어 군사원조 중단이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짚었다.

 

원조 중단의 실효성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한편에서는 군사원조 중단이 이집트 군부 과도정권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낼 유일한 수단이라고 봤지만, 또 다른 전문가들은 이집트와 주변지역에서 미국이 누려온 전략적 이점만 뒤흔들 뿐이라고 분석했다.

 

워싱턴DC에 있는 국제문제 연구기관 애틀랜틱카운실(AC)의 타렉 라드완 연구 부책임자는 "이집트 원조와 관련한 정책 변화는 장기적으로는 미국에 이롭다"며 "이집트와의 관계 다변화는 미국 정부의 정책적 유연성을 높일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반면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의 중동 프로그램 책임자 존 앨터먼은 "(원조를) 끊는 것이 재개하는 것보다 쉽다"며 "이집트 정부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경고탄을 발사하는 대가로 양국 관계의 점진적 하강을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door.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