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소내의 재활교육 수감자 사회복귀 도와

by Khadija posted Mar 04, 20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조선일보 브라질 지사다양한 프로그램 좋은 효과 거둬

브라질은 모든 수감자들을 수용하기에 1십 2만 이상이 자리가 부족하다.
이런 교도소의 만원사례가 수감자들의 사회적응 회복에 지장을 주고 있다.
한 죄수에게 적용된 형은 형벌과 회복의 기능이 있는데 사회의 법을 어긴 것으로 형벌을 받고 죄수가 사회에 다시 적응할 수 있도록 회복을 하게 하는 것이다.

브라질 교도소 담당국장 끌라이똔 누네스는 교도소의 시설부족은 이런 형이 효력을 발휘하게 하는데 가장 큰 문제점 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런 문제들을 가지고도 정부와 무정부주의자들의 죄수들을 찾아가 그들이 사회에서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들이 늘어나고 있다.

끄라이똔 누네스는 교도소 안에서의 작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중의 하나라고 했다.
“교도소 안에서의 이일은 수감자들에게 시간을 떼우게 하는 데 목적이 잇는 것이이 아니고 수감자들이 치료받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한 누네스는 바쁜 수감자들의 증가는 게으름과 폭동등을 예방할 수 있다고 했다.

또 “교도소내의 안전을 저해하는 문제들을 예방할 수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쎄아라에는 수감자들의 재활 프로그램이 벌써 실행되고 있다.



(죄수들의 재활교육은 이들이 다시 범죄의 세계에 빠지지 않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업들 참여로 생산 교도소 건립

기술지도로 출옥후 사회복귀 도와

개인기업들의 참여로 수감자들이 일을 하고 형을 마치고 사회로 돌아갈 때 돈을 받을 수 있는 생산 교도소가 건립되었다.

한 교도소는 준보석 계통에서 일을 하는 기업인으로부터 믿을 수 있는 약속을 받기도 했는데 이 교도소에서 일을 한 사람은 출옥후 같은 회사에 취직을 해서 일을 할 수 있게 됐다.
“그는 그림을 그리고 귀걸이, 목걸이, 반지등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었었다.”고 깐드라 돈지 전 직원은 말했다.

국내에 산재되어 있는 많은 교도소들은 목공, 철공등을 익힐수 있도록 주정부에서 작업실을 설치했다.
또 현재 증가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개인 기업들과 정부의 참여로 소규모 공장들을 교도소 내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 수감자들은 한 기업을 통해서 일을 배우고 정해진 양의 일을 정기적으로 하면 월급을 받게된다.

썽 빠울로에서 가진 경험에의하면 일을 한 수감자들에게 지급된 월급은 3개분야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필요를 충당하기 위해서 일을 한 수감자에게 지급되고 하나는 수감자의 가족에게 지급되고 다른 하나는 형을 마쳤을때 찾을 수 있도록 저축된다.
한 수감자 노베르또 니꼴라우는 썽 빠울로의 교도소에서 중고등학교를 마치고 지금은 대학에서 건축학을 전공하고 있다.

주정부들은 수감자들을 위한 직업교육의 프로그램에 앞장서고 있다.
법무부와 농업개발부도 농촌 출신의 수감자들을 위해서 이 일에 동참하고 있다.
그중의 하나는 빠라나에서 적용되고 있는 것인데 처음에 약 2백명의 수감자들을 도울 계획이다.

(폭동을 일으키는 수감자들.)

전과자들에게 일 할수 있는 기회 부여
여러개의 주에서 좋은 결과 보여

싼드라 돈지는 중요한 것은 전과자들에게 노동시장에서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고 또 다시는 죄를 짓지 않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전과자들에게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록 문제들은 더 심각해 진다. 왜냐하면 그들은 노동 시장에서 기회를 찾지 못하면 다시 범죄를 하기 때문이다.”라고 싼드라 돈지는 말했다.
교도소에서 사회로 돌아오게 하는 프로그램은 브라질의 여러개 주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썽 빠울로주의 교도소 관리국의 마리아 안젤라 누네스는 이 프로그램을 잘 성취하는데는 사회의 참여도 중요하다고 했다.”
훼르난도 올리베이라는 “전과가 전혀 없는 사람들에게도 직업을 구하기가 어려운데 우리같이 전과가 있으면 더욱 어렵다. 회사들은 전과가 없는 사람들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끌라이똔 누네스는 수감자와 출감자들을 위해서 법무부가 정부와 사회의 동참을 유도하고 있다면서 수감자가 다시 범죄의 세계로 돌아가지 않게 하기 위해서 교육과 직업교육에 투자하는 것은 그들이 살고 있는 사회에서 존경받는 시민이되는 것 이외에도 범죄를 줄이는 일에 동참하게 되는 것이고 만원사례인 교도소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일익을 담당하는 것이라고했다.









door.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