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MBA


logo

 
banner1
포토뉴스
연재/컬럼

PYH2012081305140000400_P2.jpg



28명 사상자 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화재
“절차 늦춰 달라” 주설계자 민현준 교수 부탁도 무시
건립팀장 “공기 맞추려고 여러 작업한 것 아니다”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이하 서울관)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화재사고는 인재(人災)일 가능성이 높다. 우선 공사를 너무 서둘러 진행한 정황이 있다. 부지 발굴이 완료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설계를 공모하고 당선작을 뽑았을 정도다.

 서울관 계획이 발표된 것은 2009년 1월 15일이다. 이날 이명박 대통령은 서울 소격동 기무사 부지 강당에서 연 문화예술인 신년 인사회에서 “기무사 부지를 미술계의 오랜 숙원인 현대미술관 서울관으로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같은 날 오후 유인촌 당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기자회견을 하고 “현재 부지에 있는 10개 건물을 헐지 않고 리모델링해 서울관을 2012년께 완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로부터 1년7개월도 안 된 2010년 8월 6일 서울관 설계 당선작이 발표됐다. 미술관 측은 “8개월의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를 거쳐 시공 20개월 일정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다만 문화재청이 벌여 온 부지 발굴 과정에서 다양한 변수가 발생할 가능성은 언제든 받아들일 것”이라고 밝혔다. 발굴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설계 공모 당선작이 발표된 것이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종로구의 공공 프로젝트를 심의하는 도시공간예술위원회 위원장인 승효상 이로재 대표는 13일 “부지 발굴조사·지표조사는 그 땅에 뭔가 짓겠다는 생각을 할 때부터 착수해야 하는 것”이라면서 “설계 후 지표조사를 해서 뭐가 나오면 설계를 다 바꿔야 하니 공모 자체가 소용없는 것 아니냐. 시간을 줄이기 위해 무리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승 대표는 “서울시 건축심의위원회에 미술관 건립안이 올라왔을 때도 제동이 있었고, 최종 건축 허가 주체인 종로구청에 건립안이 올라왔을 때도 위원장인 내가 ‘공기에 무리가 있다’고 의견을 냈지만 소용없었다. 심지어 주 설계자(홍익대 민현준 건축과 교수)조차 ‘무리가 있으니 절차를 늦춰 달라’고 부탁했을 정도였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그 정도 규모와 정황(주변 문화재)이 있는 곳이면 4년은 잡아야 할 공사인데, 20개월 내 완공은 말이 안 된다”며 “건립을 발표한 이명박 대통령조차 본인은 착공식만 하겠다고 했는데도 아랫사람들이 무리했고, 누구도 거기 제동을 걸지 못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서울관 권오기 건립팀장은 “지난해 7월 건물 철거가 끝나고 공사를 시작했다. 공사를 발주할 시점부터 내년 2월 공사 완료를 목표로 기간을 맞춰서 하는 거지 갑자기 공기를 맞춘다고 여러 작업을 하는 게 아니다”고 해명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3일 화재와 관련해 중앙사고수습지원본부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문화부 나종민 대변인은 공사 연기 가능성에 대해 “사고 수습이 끝나고 나서 정밀 안전진단을 통해 공사 연기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며 “육안으로 판단하기에는 공사에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구체적인 판단은 결과가 나와야 알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서울관 화재는 매번 반복되는 화재 참사의 공식을 따르고 있다. 유독가스를 내뿜는 우레탄 발포를 밀폐된 공간에서 했고 여기에 불똥이 튀면서 대형 화재로 번진 것이다. 40명의 목숨을 앗아간 2008년 1월 경기도 이천 냉동창고에서도 우레탄 가스가 가득 차 있는 밀폐 창고에서 용접작업을 하다 화재가 났다.

 현장의 안전불감증이 이번 참사를 불러일으켰다는 것이 전문가의 분석이다. 불붙기 쉬운 우레탄 발포작업은 극도의 주의를 요구하는데 이번 역시 안전관리를 소홀히 하다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이번 화재는 공사 단계라 내열재 등이 갖춰져 있지 않았고 스프링클러 등 소화장비도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우송대 안세진(소방방재학) 교수는 “이런 사고의 대부분은 용접 규칙을 안 지켰을 때 생긴다”며 “법이 문제가 아니라 의식이 문제인 것”이라고 말했다.

 안전공정관리지침상 우레탄 발포와 용접작업은 시간과 장소를 엄격히 분리해 진행해야 한다. 세명대 윤용균(소방방재학) 교수는 “우레탄 발포와 용접을 동시에 하는 건 기름통 안에서 담뱃불을 붙이는 것과 같은 일”이라며 “두 작업은 완전히 분리돼야 하는데 작업 공정을 서두르다 문제가 생긴 것 같다”고 말했다.



door.jpg
?

  1. 전자발찌 절단 어려워지고 와이파이 기능 장착

    법무부는 내달부터 성폭력 범죄자의 전자발찌 훼손 이외의 `준수사항 위반'에 대해서도 경찰과 공동 출동하는 등 감독을 대폭 강화한다. 또 성폭력 사범에 대한 보호관찰 ...
    Category사회/생활 Views2976
    Read More
  2. 김승연회장 징역 4년ㆍ벌금 50억원…법정구속

    서울서부지법 형사12부(서경환 부장판사)는 16일 회사에 수천억원의 손실을 떠넘긴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배임) 등으로 기소된 김승연(60) 한화그룹 회장에게 징...
    Category정치/경제 Views2007
    Read More
  3. 日 “조센진은 떠나라” 韓공관-언론사에 협박

    주일 한국대사관이 일본 극우단체의 시위로 15일 하루 종일 몸살을 앓았다. 일본에 소재한 한국 공관 및 언론사엔 극우 인사들의 협박 전화가 이어져 주재원과 교민들의 불...
    Views1742
    Read More
  4. 폭발한 박근혜, '비박'에 "아주 소설을 만들어.."

    공천비리 의혹 문제를 둘러싼 '박근혜 대 비박근혜'대결이 14일 밤 진행된 MBC대선후보경선토론회에서도 계속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특히 김문수, 임태희 후보의 박근혜 ...
    Views1606
    Read More
  5. “日王 ‘통석의 염’ 같은 말 할거면 방한 말라”

    이명박 대통령은 14일 “아키히토(明仁) 일왕도 한국을 방문하고 싶으면 독립운동을 하다 돌아가신 분들을 찾아가서 진심으로 사과하면 좋겠다”며 “(일왕이) 한 몇 달 단어를...
    Views1684
    Read More
  6. “4년 공사 20개월에 하려다 … ” 과욕이 빚은 경복궁 옆 참사

    28명 사상자 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화재 “절차 늦춰 달라” 주설계자 민현준 교수 부탁도 무시 건립팀장 “공기 맞추려고 여러 작업한 것 아니다”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
    Views1646
    Read More
  7. 안철수, 이번엔 차명 투자? 부인 명의로 지분 참여

    안철수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에 대해 이번에는 차명 투자 의혹이 제기됐다. 지난 2001년 재계 2, 3세들과 함께 만든 회사인 브이소사이어티에 부인 명의로 지분...
    Views1674
    Read More
  8. 세 아들 살해한 30대女 남편은 공채 출신 중견 탤런트

    우울증 증세를 보이다 가출해 세 아들을 모두 살해한 30대 주부의 남편이 중견 연기자 김모(47)씨인 것으로 확인됐다.지상파 방송사 공채 탤런트 출신인 김씨는 그 동안 각...
    Views57704
    Read More
  9. 민주 "4대강 사업 부작용, 강물이 썩어가고 있다"

    민주통합당은 9일 '4대강 살리기 사업'의 부작용을 언급하며 현 정부를 비판했다.민주당 이용섭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 고위정책회의에서 "정부가 22조원이 넘는 돈...
    Views1453
    Read More
  10. '부전자전'…미성년 성추행 탐험대장 아들도 성추행

    국토횡단에 참가한 여중생들을 성추행한 혐의로 구속된 강모(55)씨의 아들도 미성년 여학생 3명을 강제추행하고 남학생 4명은 폭행해 다치게 한 것으로 드러났다. (뉴시스 ...
    Views1936
    Read More
  11. 현역장교 소총 자살..軍 총기관리 '구멍'

    현역 장교가 부대 밖으로 갖고 나간 소총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어 군(軍)의 허술한 총기관리 실태가 도마에 오르고 있다. 해당 부대는 10시간 넘게 소속 장교가 무장한 채 ...
    Views1743
    Read More
  12. 음란물 16만건 유통 최대 규모 조직 적발

    대학교수에서 70대 노인까지 가담한 역대 최대 규모의 음란물 유통 조직이 경찰에 붙잡혔다. 인천지방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7일 웹하드 사이트를 운영하며 업로더를 모...
    Views164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390 Next
/ 390
상호명 : 투데이닷컴(웹)/한인투데이(일간지) / 대표자 : 인선호 / E-Mail : hanintodaybr@gmail.com/webmaster@hanintoday.com.br
소재지 : R. Jose Paulino, 226번지 D동 401호 - 01120-000 - 봉헤찌로 - 상파울로 - 브라질 / 전화 : 55+(11)3331-3878/99721-7457
브라질투데이닷컴은 세계한인언론인협회 정식 등록사입니다. Copyright ⓒ 2003 - 2018 HANINTODA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