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 52만… 정부, 치료 팔 걷었다

by anonymous posted Jul 29,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2072919042194647_193132_0.jpg


올해로 7년째 치매를 앓아 현재 장기요양보험 주간 및 단기보호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손모(55·여)씨. 처음엔 기억력이 떨어져 단순히 40대 후반 찾아오는 갱년기에 따른 우울증과 건망증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진단 결과 치매 질환이 상당히 진행돼 지능이 7∼8세 수준에 불과했다. 사정이 이러한데도 발병 후 6년간 제대로 보살핌을 받지 못했다. 가정형편 탓이었다. 그러다 손씨는 올해부터 장기요양보험 대상자로 분류돼 전문기관의 보살핌을 받고 있다.

암보다 무서운 치매의 조기 발견과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정부가 팔을 걷어붙였다. 급증하는 치매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줄이고 치매 환자와 그 가족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는 치매 조기 발견과 예방을 강화하고 더 많은 치매환자들이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등급인정 기준을 완화하는 내용의 ‘제2차 국가 치매관리 종합계획(2013∼2015)’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치매환자는 52만2000명으로 2008년에 비해 26.8%나 늘었고, 2025년에는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치매로 인한 연간 총 진료비는 8100억원에 이른다. 1인당 진료비는 연간 310만원으로 뇌혈관(204만원), 심혈관(132만원) 등 5대 만성질환 중 가장 높다.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은 치매(35.4%)로 뇌졸중(26.5%), 암(24.9%)보다 앞선다.

복지부는 우선 치매 조기 발견을 위해 국가건강검진(66·70·74세)의 치매검사 방법을 개선하고 보건소와 연계해 고위험군에 대한 사후관리를 강화키로 했다. 보건소의 치매진단율을 높이기 위해 치매 발생 가능성이 높은 75세 이상 독거노인 및 75세 진입 노인을 검진 우선대상으로 관리한다.

치매 유형별, 중증도별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치료 및 보호서비스 지원도 강화된다.

치매 진행 지연을 위해 월 평균 소득 5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약제비를 지속 지원하고 인지재활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한다.

중증 치매환자임에도 장기요양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이 3만명에 달해 등급 판정 때 인지기능 장애가 반영될 수 있도록 등급체계를 개선한다. 현재 장기요양보험은 신체 기능 위주로 평가가 이뤄지고 있다. 등급 외 치매환자도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3등급 인정기준을 현행 55점에서 53점으로 완화해 현재 14만9000명에 불과한 대상자를 2015년 20만3000명까지 늘린다.

가족돌봄을 지원하는 재가서비스 제공을 확대해 치매환자의 요양시설 입소를 최대한 지연시키기로 했다. 아울러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신규 대상자 선정 때 치매환자를 우선 지원하고 일시적으로 치매환자를 맡길 수 있는 주·야간 보호기관을 매년 120개소 이상 확충해 가족들의 부담을 덜어준다는 방침이다.



door.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