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취항 계기로 본 한인사회의 현황과 향후전망

by 인선호 posted Jun 11,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주헤럴드경제] 대한항공의 브라질 상파울루 노선 재취항으로 지난 7년여간 단절되다시피 했던 북미주 지역 한인사회와 남미간의 인적, 물적 교류가 다시 활발해 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일고 있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등 남미지역에서 미국으로 옮긴 한인 동포 다수가 LA에 정착하고 있지만 지난 2001년의 9·11테러 이후 대한항공이 수익성 저하와 비자 문제로 취항을 중단한 이후 특히 브라질 한인사회와 남가주 지역 한인들의 교류는 다소 뜸해진 게 사실이다.

대한항공의 상파울루 노선 재취항을 계기로 브라질 한인사회의 현황과 향후 전망을 살펴본다.


▲브라질 한인사회

브라질 한인커뮤니티 규모는 약 5만여명, 남미 전체로는 10만여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상파울루에서 LA를 거쳐 한국으로 가던 남미 한인들은 노선이 중단된 뒤 에어프랑스나 루프트한자 등 유럽계 항공사를 이용, 유럽을 경유해 한국을 가는 원거리 여행을 감수해야 했다.

미국에서 LA-상파울루 직항 노선을 운영하는 항공사는 대한항공이 유일하다. 브라질 한인회의 박동수 회장은 "고국은 물론 미주지역과의 거리가 단축돼 교류 촉진에 대한 기대가 높다"라며 "한동안 끊어졌던 미주한인 커뮤니티와 교류도 다시 맺고 긴밀한 정보교환으로 서로에게 이득이 되는 관계를 펼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브라질 한인 경제

브라질 거주 한인의 80% 가까이가 의류 및 의류 관계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나머지 20여%는 식당, 식료품, 꽃집, 사우나, 골프샵 등 자영업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의 대다수는 상파울루 시내의 한인촌으로 불리는 봉헤찌로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브라질 화폐인 '헤알'(Real)도 있지만 미국 달러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미 여러 브라질 출신 한인들이 LA자바시장에서 성공을 거뒀을 정도로 브라질 한인들은 의류업에 대한 집중도가 높다. 봉헤찌로 인근에는 LA다운타운의 자바시장을 연상시킬 정도로 흡사한 거리가 존재하며 이 업체들의 대다수는 한인들의 손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LA의 한인 의류업체들과 마찬가지로 브라질 한인의류업체들은 연 2~3회씩 유럽을 찾아 최신 패션을 도입하며 브라질의 패션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 곳에서 22년째 '오뚜기 수퍼'를 운영하고 있는 하윤상씨는 "요즘에는 환율이 안정돼 경기가 살아나고 있다"며 "강도만 아니면 제법 괜찮은 나라"라고 말했다.


▲ 향후 전망

다수의 브라질 한인들은 대한항공의 재취항에 많은 기대를 걸고 있다. 한국을 한결 쉽게 왕복할 수 있는데다 한미FTA와 한국민의 미국 무비자 입국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브라질 한인들은 아직도 브라질 국적을 취득하지 않고 한국 국적을 유지하고 있다.

브라질의 한 한인동포는 "경기가 살아나며 집값이 오르기 시작하자 한국에서의 부동산 투자도 크게 늘고 있다"라고 들려줬다. 내년은 한국과 브라질의 수교 50주년이기도 하다. 대한항공의 이종은 미주본부장은 "금년말로 미국에서 비자면제프로그램이 가동되면 한국-미주-남미를 있는 경제교류가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라며 "LA와 상파울루 한인들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라고 말했다.

door.jpg